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던 명동 상권이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. <br> <br>공실률이 50%를 웃돌았는데, 지금은 2%대로 떨어졌는데요. <br> <br>코로나 이전과는 어떻게 달라졌는지 경제카메라, 이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대한민국 '관광 1번지' 서울 명동. <br> <br>외국인 관광객이 돌아오면서 명동 상권이 되살아나고 있습니다. <br><br>코로나19로 관광객이 줄면서 명동 상권의 공실률은 한때 50% 넘게 치솟았지만 올해 들어 2%대로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이태원, 신촌, 강남 등 서울 주요 상권과 비교해도 공실률이 낮습니다.<br> <br>과거에는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이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명동을 찾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프랑스에서 왔어요."<br>"인도에서 왔어요." <br>"미국에서 왔어요." <br> <br>특히 최근에는 동남아시아 무슬림 관광객들이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관광객 국적이 달라지면서 상권도 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무슬림 관광객의 발길을 잡기 위해 길거리 음식도 돼지고기류는 줄고 케밥 같은 중동 음식이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명동에 있는 한 식당입니다. <br> <br>유리창에는 이처럼 할랄 인증 표시가 붙어있고, 건물 3층에는 무슬림들을 위한 기도실이 마련돼 있는데요. <br> <br>50미터 남짓한 이 거리에만 할랄 음식점이 여섯 군데나 됩니다.<br> <br>[모하메드 나스리 / 말레이시아] <br>"무슬림 단체로 관광 많이 오는데, 이렇게 기도실이 있으니까 좋아요. 명동 외에는 할랄 음식을 찾기 어려워요." <br> <br>명동 거리 곳곳을 채우던 화장품 길거리 매장들은 코로나 직전과 비교하면 40%가 사라졌습니다.<br> <br>대신 대형 특화매장이 관광객들을 끌어당기고 있습니다. <br> <br>발품 팔 일 없이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제품을 살 수 있어 SNS에선 한국 여행 필수 코스로 소개됩니다. <br> <br>[메르흐 / 독일] <br>"여행 끝날 즈음에 여기 와서 좀 아쉬워요. 가격도 저렴하고 종류도 많고." <br> <br>[세일럼 / 호주] <br>"이곳은 피부 관리 화장품을 위한 슈퍼마켓 같아요. 꿈만 같습니다." <br> <br>[사브리나 / 인도네시아] <br>"틴트도 사고, 스킨케어도 사고, 여드름 패치도 사고…" <br> <br>단체여행보다는 개별 관광객 수가 늘면서,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'체험형' 매장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> <br>개성을 콕 집어 그려주는 캐리커처 체험에 매장 안은 웃음바다가 됩니다. <br><br>추억이 될 그림을 열쇠고리에 담아 갈지 액자에 담아 갈지 행복한 고민에 빠져보기도 합니다. <br> <br>[키아라 세두 / 영국] <br>"여기 저기를 다니면서 탐험하고 있어요. 황홀한 곳이네요." <br> <br>K푸드나 K팝을 체험할 수 있는 매장들도 인기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명동으로 온 이유가 뭐예요?) 케이팝이요. 케이팝 앨범도 몇 개 샀어요." <br> <br>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아 침체됐던 명동 상권에 새로운 봄이 찾아왔습니다. <br> <br>경제카메라 이준성입니다. <br> <br>연출 : 박희웅 이유니 <br>구성 : 강전호<br /><br /><br />이준성 기자 jsl@ichannela.com